로그인정보 입력 영역

내서재

더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전자책

  • 다운로드
  • 뷰어사용안내
  • 자료대출안내

새로나온 책

더보기

공지사항

더보기

컨텐츠상세보기

이야기치료 (커버이미지)
알라딘
이야기치료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Shona Russell, Maggie Carey (지은이), 이은주, 강진아 (옮긴이) 
  • 출판사좋은땅 
  • 출판일2023-08-25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앎과 행함 사이의 간극,
이는 우리가 삶에서 흔히 마주치는 현실

이 책은 덜리치센터 교수진의 일원이며, 이야기실천 연구자 Shona Russell, Maggie Carey의 《Narrative Therapy: Responding to your questions》을 상담자, 교수,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는 이은주, 강진아 상담자가 번역한 것이다.

역자는 이 책의 첫 번째 미덕으로 ‘세계 각지의 다양한 이야기치료 현장에서 생긴 질문들을 집합적으로 모았다’는 것을 꼽는다. 아무것도 모르면 질문조차 할 수 없다. 아는 것을 실천으로 연결하고 싶을 때,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자기가 선호하는 방향으로 성장하고 싶을 때 질문한다. 각 장의 소제목인 질문에서 사용된 ‘힌트’, ‘딜레마’, ‘주의할 점’ 등의 단어에는 현장의 이야기치료자들이 가지는 궁금함과 열정이 담겨 있다. 역자들은 이러한 질문들에서 ‘내가 가진 질문을 세상의 다른 이야기치료자들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동질감과 안도감을 느꼈다고 한다.

두 번째 미덕은 질문들에 대한 저자들의 명확한 답변 제시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다양한 이야기치료 경력자들의 답들 역시 집합적으로 모았다는 것을 말한다. 저자들은 오랜 실천과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워크샵 현장처럼 친절하고 상세하게 답변해 주고 있다. 또한 이야기치료 경력자들은 현장에서 느끼는 보람, 이야기치료가 자기의 삶에 가지는 의미, 딜레마 대응법을 생생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이들이 겪었던 시행착오와 거기에서 얻은 교훈을 솔직하게 공유하는 모습에서는 이야기치료자의 투명한 자세가 나타난다. 역자들은 이러한 답들에서 ‘이제 앎과 행함 사이의 간극을 이어 줄 교량을 가졌다’는 기쁨과 든든함을 느꼈다고 한다.

세 번째 미덕은 마지막 두 장(章)에서 후기구조주의와 페미니즘이라는 무거운 주제에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후기구조주의는 이야기치료의 철학적 토대로서, 그리고 페미니즘은 사회적 담론 해체의 대표적 지평으로서 이야기치료를 설명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그러나 이들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을 받을 때가 많기에 논의가 만만치 않다. 이 책에서는 세계 각지의 이야기치료 현장에서 모은 질문과 답을 집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논의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이 논의는 우리의 매일매일의 삶 및 치료적 실천과의 직접적 연결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실감과 생동감을 준다.

역자들은 번역 작업을 하면서 이야기치료가 어떻게 우리의 내담자를 변화시키고 우리 자신의 삶도 변화시켰는지를 되새겨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 과정은 역자 자신에게 즐겁고도 보람 있는 일이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이야기치료를 현장에서 적용하는 분들, 특히 적용 과정에서 질문을 가진 분들에게 이 책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쇼나와 매기는 덜리치센터 교수진의 일원이며, 이야기실천에 관해서 여러 해 동안 가르치고 글을 써 왔다. 이들은 남호주 아델레이드에서 일하면서 살고 있는데, 이를 사랑한다(2004년).

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서문

감사의 글



1장 외재화 - 흔히 묻는 질문들


1. 외재화란 무엇인가?

2. 외재화 대화란 무엇인가?

3. 무엇을 외재화할지 어떻게 아는가?

4. 어떤 종류의 것들이 외재화되는가?

5. 외재화 대화의 효과는 무엇인가?

6. 외재화 대화는 이야기치료의 다른 실천 방법과 어떻게 부합하는가?

7. 실천가들이 처음 외재화 대화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힘들어하는 점이 있는가?

8.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괴롭히기, 놀리기, 폭력 사용하기-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당신은 외재화 대화를 사용할 수 있는가?

9. 외재화 대화를 사용할 때 유용한 힌트가 있는가?

10. 나쁜 것은 외재화하고, 좋은 것은 내재화하는 것인가?

11. 외재화 대화에서 가장 유익한 것은 무엇인가?



2장 이야기 다시쓰기: 흔히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


1. 이야기 다시쓰기 대화란 무엇인가?

2. 어떻게 이야기 다시쓰기 대화를 시작하는가?

3. 이야기 다시쓰기 대화 ‘지도’란 무엇인가?

4. 어떻게 사람들의 정체성에 대해서 차이를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질문하는가?

5. 이야기 다시쓰기는 다른 이야기실천에 어떻게 부합하는가?

6. 이야기 다시쓰기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를 우리는 언제 알 수 있는가?

7. 이야기 다시쓰기 대화에 참여할 때 우리가 알아야 할 딜레마가 있는가? 만약 있다면 이런 딜레마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



3장 회원재구성: 흔히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


1. 회원재구성 실천(the practice of re-membering)이란 무엇에 관한 것인가? 그리고 이는 보통의 회원재구성(re-membering)과 어떻게 다른가?

2. 회원재구성 대화는 다른 이야기치료 실천 방법과 어떻게 관련되는가?

3. 회원재구성 밑에 있는 생각은 무엇인가? 자기에 대한 어떤 이해가 회원재구성 대화와 연관되는가?

4. 언제 회원재구성 대화에 들어갈 것인가? 어떻게 회원재구성 대화를 시작하는가?

5. 일단 중요 인물이 누구인지 알아내면, 그다음엔 무엇을 하는가?

6. 만약 내담자가 회원재구성을 하고 싶은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어떻게 할까? 이로 인해 내담자의 기분이 그저 더 저하되지나 않을까?

7. 회원재구성 대화는 삶에서 오직 긍정적인 인물에 대해서만 하는가? 삶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친 사람들에 대해서는 어떠한가?

8. 사람들은 종종 회원재구성 실천을 정말로 즐긴다고 들었다. 이는 무엇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9. 회원재구성 실천은 원가족 작업과 어떻게 다른가?

10. 회원재구성 실천을 활용하는 데에 주의할 점이 있나?

11. 회원재구성 대화는 치료자의 삶과 업무에 어떻게 관련되는가?



4장 외부증인 실천: 흔히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


1. 외부증인이란 용어는 무슨 의미인가?

2. 선호하는 이야기에 증인이 있다는 것이 왜 중요한가?

3. 이런 생각과 작업 방식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나?

4. 정의예식이란 무엇인가?

5. 외부증인은 어떤 종류의 응답을 하는가?

6. 외부증인 실천에서 흔히 일어나는 위험은 무엇이며, 이런 위험들을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유용한 힌트가 있나?

7. 외부증인 실천을 하는 상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8. 외부증인 실천에 관해서 당신은 무엇을 가장 즐기는가?



5장 후기구조주의와 치료 - 도대체 무엇에 관한 것인가?


1. 구조주의란 무엇인가 - 구조주의가 치료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2. 후기구조주의는 무엇이며, 이는 치료세계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3. 후기구조주의는 치료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혹은 이는 보다 광범위한 현상인가?

4. 페미니즘은 후기구조와 어떻게 부합하는가?

5. 후기구조주의는 언제나 이해하기가 어려운가? 만약 그렇다면 왜 어려운가?

6. 치료 실천과 관련하여 후기구조주의적 생각이 당신에게 가장 도움 되는 것은 무엇인가?



6장 페미니즘, 치료, 그리고 이야기에 관한 생각들: 흔히 묻지 않는 질문들에 대한 탐색


1.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우리 삶에 페미니즘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3. 치료영역에 페미니즘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4. 이야기치료에 있어 페미니스트의 주요한 기여는 무엇인가?

5. 페미니즘과 이야기치료의 어떤 부분이 서로 부합하는가?

6. 현장에서 발생하는 페미니스트/젠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7. 치료자로서 일하면서 일상에서 고민하는 젠더 관련 딜레마는 무엇인가?

한줄 서평